복강경을 이용한 간 적출술은 확고한 안전성을 바탕으로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부담을 줄여주는 술기로 기존 개복 수술을 빠르게 대체해 가며 생체 간이식 공여자 수술에서 표준으로 자리잡아 가고있다. |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삼성서울병원이 간이식팀이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위험부담을 최소화하는 복강경시술을 시도한지 10년만에 뚜렷한 성과를 보이는 연구상과를 발표했다.
복강경을 이용한 간 적출술은 확고한 안전성을 바탕으로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부담을 줄여주는 술기로 기존 개복 수술을 빠르게 대체해 가며 생체 간이식 공여자 수술에서 표준으로 자리잡아 가고있다.
삼성서울병원(원장 박승우) 이식외과 최규성, 김종만, 유진수 교수 연구팀은 최근 생체 간이식 공여자 복강경 수술(이하 복강경 수술) 시행 10년차를 맞아 미국 외과학회 공식 학술지인 ‘외과학 연보(Annals of Surgery, IF=13.787)’에 그동안의 경험을 소개했다.
2013년 첫 수술 이후 2022년까지 복강경 수술로 간을 공여한 환자 636명의 수술 경과를 분석한 결과다. 복강경 수술은 배에 1 ~ 2 cm 크기의 구멍을 4 ~ 5개 만든 뒤, 이를 이용해 수술 기구를 넣어 공여자의 간을 절제하고 절개창을 낸 골반 부위로 꺼내는 방법을 말한다.
기존 개복 수술과 비교해 공여자의 고통을 줄여주고, 흉터가 적어 ‘삶의 질’을 향상시켜준다고 알려져 있지만 수술 난도가 높은 게 단점으로 꼽힌다. 간이식 수술이 성공하려면 먼저 공여자에게서 떼어낸 간을 환자에게 이식하기 좋게 담관과 혈관을 정밀하게 박리부터 해야 하는데, 해부학적 변이가 있는 경우 출혈 위험이 큰 탓에 개복수술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선의로 나선 공여자의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기존 개복 수술에 비해 수술방법이 복잡하고 어려워 초기엔 쉽사리 환자에게 권하지 못했지만 지금은 수술 경험이 쌓이면서 수술법이 더욱 정교화되고, 고도화되어 안정적으로 수술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삼성서울병원 이식외과는 앞서 2020년 이후 진행된 간이식 공여자 수술을 ‘100% 복강경’으로 시행한다는 논문을 발표해 주목받은 바 있다. 현재도 국내 주요 병원들 가운데 유일하게 모든 간 공여자 수술을 복강경으로 하고 있다.
논문에 따르면 전체 환자 636명 중 개복술이 추가로 필요했던 경우는 1.6%에 불과했다. 국제 다기관 연구에서 평균적으로 4.1% 발생했던 것과 비교하면 국내 의료진의 술기적 우위가 돋보이는 대목이다. 수술 후 30일 이내 합병증 발생률도 삼성서울병원은 16.8%로, 국제 통계 26.9% 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가장 흔한 합병증은 출혈로 전체 환자의 6%에서만 관찰됐고, 재입원이나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각각 5.2%, 2.2% 수준에 그쳤다.
논문 교신저자인 최규성 교수는 “간이식팀 의료진 모두가 지난 10년간 손발을 맞추며 노력해 준 덕분에, 이제는 공여자의 건강을 지키는 새로운 수술법이 완전히 자리잡았다” 면서 “앞으로도 환자에게 부담은 적고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연구와 개발에 모두 다 함께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