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의 더 큰 문제점은 위중한 합병증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특히 혈관 건강에 치명적이다. 당으로 인해 끈적해진 피가 혈관을 막고 특히 손끝, 발끝의 말초혈관부터 망가뜨린다. 일명 ‘당뇨발’로 불리는 ’당뇨병성 족부병증‘이 대표적인 당뇨 합병증이다. |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최근 국내 당뇨 인구는 600만 명, 당뇨전단계 인구는 1,500만 명이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더는 중장년의 전유물이 아니라 2030세대 젊은 당뇨병의 증가세가 가파르다.
당뇨병은 대사기능 저하로 인해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아 고혈당이 유지되며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는 질환이다. 당뇨의 약 90%를 차지하는 ‘제2형 당뇨’는 선천적인 원인이 아닌 서구식 고지방 식단, 스트레스, 운동 부족 등 환경적인 요인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의 더 큰 문제점은 위중한 합병증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특히 혈관 건강에 치명적이다. 당으로 인해 끈적해진 피가 혈관을 막고 특히 손끝, 발끝의 말초혈관부터 망가뜨린다. 일명 ‘당뇨발’로 불리는 ’당뇨병성 족부병증‘이 대표적인 당뇨 합병증이다. 당뇨로 인해 신경세포가 죽어 감각이 무뎌지고, 발에 상처가 생기면 잘 낫지 않고 점점 범위를 넓히며 궤양, 괴사가 일어난다.
민트병원 당뇨발센터 배재익 대표원장(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의학박사)은 “과거에는 당뇨발로 인해 발가락부터 시작해 발, 이어 무릎까지 절단하는 사례가 많았다”며 “당뇨발을 빨리 진단한다면 인터벤션 혈관개통술을 통해 좁아진 말초혈관을 넓히고, 혈류를 살림으로써 발을 절단하지 않고 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중요한 건 진단과 치료 시기다. 발에 작게 멍이 들거나 겉의 상처 범위는 그리 크지 않아 보여도 내부를 보면 상당히 진행되어 있는 상황도 적지 않다. 다른 질환도 마찬가지지만 당뇨발은 특히 치료를 언제 시작하는지에 따라 예후가 천차만별이다.
따라서 당뇨환자는 습관적으로 발 건강을 살펴야 한다. 발을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고, 작은 상처라도 조기에 알아채 적극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출 시에는 발을 외부로 노출하는 슬리퍼나 샌들 착용을 피하고 깨끗하고 부드러운 면 양말을 착용한다. 신발도 여유 있는 사이즈로 착용하는 것이 좋다. 항시 발을 청결하게 씻고 피부가 갈라지지 않게 보습제를 바르며, 발톱도 너무 짧게 깎지 않도록 한다. 또 발에 상처가 보인다면 뜯어내거나 파헤치지 않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배재익 대표원장은 “당뇨발은 증상이 초기부터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으므로, 당뇨 질환이 있다면 발을 유심히 살피는 것이 필수”라며 “상처가 없더라도 평소 다리와 발이 차갑고 저리거나, 반대로 열감이 느껴지거나, 피부색이 붉거나 푸르스름하게 변한 것 같다면 초음파검사 등을 통해 혈관 상태를 확인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