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스타그램
  • 뉴스레터
  • 모바일
  • Play
  • 헬스
  • 아파보니 더 소중한 ‘무릎’… 정형외과 가야 하는 통증 신호는?
  • 2024.04.17.
무릎관절염 초기에는 움직이고 걸을 때 무릎 주변이 아프다가 쉬면 통증이 나아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후에는 정적인 자세에서 움직일 때 관절이 뻣뻣해지고 주변을 누르면 압통이 느껴지게 된다. 계단이나 언덕을 오르내릴 때, 날씨가 춥거나 습할 때 증상이 심해지는 것도 관절염 증상 중 하나다.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백세시대에 중장년기 삶의 질의 핵심 요소로 중 하나가 관절 건강이다. 모든 신체 부위가 그렇듯 우리 몸의 관절도 사용하는 기간이 늘어날수록 약해져 통증 등 각종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런 증상을 ‘관절염’이라고 한다. 특히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쉽게 체감하는 부위가 무릎이다.무릎 관절은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인 만큼 다른 부위보다 더 빨리 닳고 손상될 가능성이 높은 게 사실이다. 중장년층에서 무릎관절염이 흔한 것도 이 때문이다. 무릎관절 사이에 위치한 물렁뼈(연골)는 뼈 사이 마찰을 줄이고 충격을 흡수해 원활한 관절운동을 돕는 역할을 한다.

수원 S서울병원 이주현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 에 따르면 나이가 들면 무릎연골이 자연스럽게 닳아 없어지고, 이로 인해 뼈가 직접 맞닿으면 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다. 무릎 관절염은 환자의 불편함, 연골 노화 정도, 염증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크게 1~4기로 나뉜다.

평소에는 소중한 줄 모르고 지내던 무릎관절. 이런 무릎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걷기 등 기본적인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생긴다. 삶의 질이 수직 하강하는 것은 예견된 일이다. 이렇다보니 실제로 우울감 등 심리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되도록 ‘요즘 들어 이상하게 무릎이 아픈 것 같네’라는 생각이 들 때 병원을 찾아야 하는 이유다.

이 대표원장은 “무릎 관절염 초기에는 이를 ‘누구나 느끼는 증상’으로 여기고 방치하는 사례가 많은데, 오히려 이때 병을 키우는 안타까운 사례에 놓이기도 한다”며 “퇴행성 질환은 기본적으로 진행되는 성격을 띠는 만큼 초기에 이상을 느낄 때 병원을 찾아야 상대적으로 가벼운 치료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무릎관절염 초기에는 움직이고 걸을 때 무릎 주변이 아프다가 쉬면 통증이 나아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후에는 정적인 자세에서 움직일 때 관절이 뻣뻣해지고 주변을 누르면 압통이 느껴지게 된다. 계단이나 언덕을 오르내릴 때, 날씨가 춥거나 습할 때 증상이 심해지는 것도 관절염 증상 중 하나다.

관절염 진단 후 치료는 어떻게 이뤄질까. 아직 관절연골이 남아있는 초·중기에는 약물·주사 등 비수술요법이나 관절내시경술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연골이 거의 닳아 없어진 말기에는 기존 관절을 제거하고 새 관절을 삽입하는 인공관절수술이 필요하다. 보통 15~20년을 인공관절의 수명으로 본다. 이 대표원장은“최근에는 수명이 연장되며 무릎 인공관절수술이 한번으로 끝나는 수술이 아닌 재치환술이 필요한 수술로 인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황에 따라 ‘경골 절골술’과 같은 자기 관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오래 쓸 수 있도록 하는 수술 방법도 있다. 무릎연골 안쪽만 많이 닳은 경우 손상된 부분만 새 관절로 바꿔주는 부분치환술(반치환술)도 고려해볼 수 있다.

아주 초기거나 아주 말기가 아닌 상황에서는 어떤 치료가 유리할까. 약물만으로는 더 이상 통증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고 그렇다고 수술이 필요한 정도가 아니라면 ‘골수줄기세포 주사 치료(무릎 골관절염에 대한 골수흡인농축물 관절강내 주사)’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는 말 그대로 염증을 막고, 줄기세포의 재생 효과로 무릎 연골을 재생하는 것이다.

자신으로부터 추출한 줄기세포와 골수 흡인농축물을 무릎 관절강내로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 대표원장은 “주입된 줄기세포는 관절염에 의한 주위 조직의 염증을 줄여주고 연골세포가 점점 마모되는 것을 막는 효과까지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수원 S서울병원 이주현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무릎 관절염 초기에는 이를 ‘누구나 느끼는 증상’으로 여기고 방치하는 사례가 많은데, 오히려 이때 병을 키우는 안타까운 사례에 놓이기도 한다”며 “퇴행성 질환은 기본적으로 진행되는 성격을 띠는 만큼 초기에 이상을 느낄 때 병원을 찾아야 상대적으로 가벼운 치료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렇다보니 60대 초중반의 상대적으로 젊은 장년층, 2~3기의 무릎관절염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옵션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대표원장은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앓는 환자는 수술전 상담과 정밀검사를 통해 그에 맞는 치료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며 “걷기와 수영, 실내자전거타기 등은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 허벅지근육인 대퇴사두근을 강화해 관절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kty@heraldcorp.com

관련기사